드론도심항공모빌리티의현재 총 5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도서지역 드론, UAM에 관한 고찰
[뉴스임팩트= 천종훈 전남도립대 인공지능드론학과 교수] 오늘은 제가 준비하고 있는 드론실증사업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여러분 드론실증도시라고 들어보셨습니까?드론 실증도시란 도심지역 내 드론 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세부 시험•실증 아이템을 지자체가 스스로 특성에 맞게 제안하고, 채택되면 그 지자체가 드론을 활용하여 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만들고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실제로 드론을 활용하여 ‘수요창출 상용화 및 사업화’를 가장 큰 목표로 하여 실제 수요처와의 연계와 조기상용화 등 실질적인 서비스를 위한 연구와
천종훈2023-12-20 -
에어택시가 수상택시처럼 되지 않으려면!
[뉴스임팩트= 천종훈 전남도립대 인공지능드론학과 교수]SK텔레콤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월 고객 1천1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26일 월간교통 11월호를 통해 공개된 “도심항공교통(UAM)에 대한 가장 큰 우려사항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의 설문조사 결과, '안전성'이 가장 큰 우려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교통수단에 있어서 사람의 목숨과 그를 지키기 위한 안전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설문조사를 조금 더 보면 전체 응답자의 35%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비싼 이용 요금'(24.1%
천종훈2023-12-05 -
대한민국 UAM 산업의 선결과제
[뉴스임팩트= 천종훈 전남도립대 인공지능드론학과 교수] 지금으로부터 약 120년 전인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형제 중 동생 오빌 라이트가 운전하는 '라이트 플라이어 1호’는 지상 3m 높이에서 12초 동안을 세계 최초의 동력비행으로 날았습니다.그로부터 약 10여년 뒤인 1914년 촉발된 세계 제1차대전에서는 정찰과 전투를 담당하는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미국의 비행기들이 하늘을 무대로 날아 다녔습니다. 또한, 1955년부터 시작된 베트남전을 다룬 영화를 보면 전투기와 헬기들이 무척 많이 등장합니다.이런 전장에서의
천종훈2023-11-15 -
조비 아처 볼로콥터 UAM 선진기업... 시작은 벤처였다
[뉴스임팩트= 천종훈 전남도립대 인공지능드론학과 교수]조비, 아처, 볼로콥터… 글로벌 UAM산업 선두주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스타트업입니다.세상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드는 도전이기 때문에 안정을 추구하는 대기업보다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이 보다 더 쉽게 목표를 달성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은 상당한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 되었지만, 이들이 처음 불린 이름은 스타트업 즉, 우리 말로 하면 중소기업이었습니다.세계에서 가장 앞서있는 UAM 기체 개발사 조비의 CEO인 조벤 비버트가 UAM산업에 뛰어들게 된 계기는 어린 시절
천종훈2023-10-25 -
대한민국 UAM산업을 응원해주세요
[뉴스임팩트= 천종훈 전남도립대 인공지능드론학과 교수]오늘부터 드론과 UAM에 대한 칼럼을 이곳에 연재하게 된 전남도립대학교 인공지능드론학과 천종훈 교수입니다.독자 여러분께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조금은 부담스럽지만 한편으로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기술을 꿈꾸는 분들과 UAM산업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다는 것에 매우 가슴 뛰고 흥분을 느낍니다. 이 마음을 칼럼을 연재하는 마지막 날까지 잊지 않도록 가슴에 새기겠습니다.지금 세계 곳곳에서는 하늘을 나는 교통수단 도심항공모빌리티 UAM의 열풍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천종훈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