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무기시리즈 189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미국 NSA, 통신감청과 사이버 첩보 대명사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미국 NSA, 통신감청과 사이버 첩보 대명사

    [뉴스임팩트=이정희 기자] 미국 국가안보국(NSA, National Security Agency)은 전통적 첩보전의 영역을 넘어, 사이버 전쟁과 정보우위를 실현하는 첨단 기관으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다. 1952년 설립된 NSA는 초기부터 암호 해독과 통신 감청을 주 임무로 삼았다. 냉전기에는 소련 및 동구권 통신을 해독하며 미국 정보전력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으며, 디지털 시대에는 사이버 첩보와 글로벌 신호정보(SIGINT) 수집을 선도한다.NSA의 힘은 광범위한 통신 감청과 데이터 수집 능력에서 나온다. 위성, 해저 케이블, 인터넷,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이정희 기자
    11-17 11:05
  • [가장 비싼 무기 톱10] 미니트맨 III 대체할 GBSD LGM-35A 센티넬

    [가장 비싼 무기 톱10] 미니트맨 III 대체할 GBSD LGM-35A 센티넬

    [뉴스임팩트=이정희 기자] 미 공군의 GBSD(제품명 LGM-35A 센티넬)는 1960년대 도입된 미니트맨 III를 대체하는 지상 기반 대륙간탄도탄(ICBM) 재구축사업이다. 계획대로라면 2030년대 초 실전 배치가 시작되어 2070년대까지 운용될 예정이며, 프로그램 규모·비용 면에서 미국 핵현대화의 중심축으로 작용한다.▌ 주요 제작비용(프로그램 총액)초기 추정치는 약 95억 8000만 달러(미 국방부 초기 제시치)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인플레이션·인프라 개보수 비용 등으로 계속 상승했다. 2024년 초 미 공군은 프로그램 비용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이정희 기자
    11-12 13:41
  •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라이언 일병 구하기’ 영화는 실제전쟁과 얼마나 비슷할까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라이언 일병 구하기’ 영화는 실제전쟁과 얼마나 비슷할까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1998년 개봉한 ‘라이언 일병 구하기’는 전쟁영화의 큰 획을 그은 영화로 꼽힌다. 특히, 이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영화 중 역사적·군사적 사실성을 가장 극적으로 재현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오프닝 노르망디 상륙 작전 장면의 강렬한 현실감은 단순 영화적 상상력을 넘어, 실제 군사 자문과 협업을 통해 탄생한 것으로 유명하다.영화의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는 제작 초기부터 미군 참전용사들과 현역 군인들의 자문을 구하며, 현실적인 전투 재현에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미 육군과 해병대 출신 자문관들은 다음과 같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11-11 15:34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러시아 FSB와 GRU, KGB의 후예들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러시아 FSB와 GRU, KGB의 후예들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러시아 정보전의 역사와 전략은 KGB라는 이름으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소련 해체 이후 KGB는 해체되었지만, 그 유산은 두 개의 핵심 조직으로 계승된다. 하나는 연방보안국(FSB)이고, 다른 하나는 총정찰국(GRU)이다. FSB는 국내 정보와 대공, 국가 안보를 담당하며 GRU는 군사정보와 해외 작전에 특화된 기관으로 나뉘었다. 두 기관은 KGB의 전통과 경험을 이어받아 러시아의 그림자 전쟁을 이끌고 있다.FSB는 주로 러시아 내부의 안보를 담당하지만, 해외 작전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체첸과 북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박시연 기자
    11-06 16:41
  • [가장 비싼 무기 톱10] GMD-사드-BMD, 핵 위협에 맞선 ‘최첨단 미사일 방어체계’

    [가장 비싼 무기 톱10] GMD-사드-BMD, 핵 위협에 맞선 ‘최첨단 미사일 방어체계’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21세기 안보 환경에서 핵무기와 장거리 탄도미사일 위협이 지속되면서, 미사일 방어체계(Missile Defense, MD)는 현대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다. 미국 국방부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단거리·중거리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계층적 체계를 개발·운용하고 있으며, 주요 시스템으로 GMD(지상기반 요격체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Aegis BMD(이지스 미사일방어체계)가 있다. 각 체계는 사거리, 요격 방식, 운용 환경에 따라 상호 보완적 역할을 수행하며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박시연 기자
    11-05 06:45
  • [심층분석] 신형 'J-36’으로 드러난 중국의 초격차 도전…6세대 전투기 경쟁 본격화

    [심층분석] 신형 'J-36’으로 드러난 중국의 초격차 도전…6세대 전투기 경쟁 본격화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중국이 마침내 6세대 전투기로 추정되는 신형 스텔스 전투기 ‘J-36’을 공개하며, 차세대 공중 패권 경쟁의 포문을 열었다. 이번 공개는 지난해 말 첫 목격 이후 불과 10개월 만에 새 프로토타입이 시험비행에 나선 것으로, 중국 항공산업의 급격한 기술 진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이번에 포착된 영상은 중국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됐으며, 첨단 전투기 개발을 담당하는 청두항공공사(CAC)의 작품으로 보인다. ‘J-36’으로 불리는 이 기체는 꼬리날개가 없는 독특한 형상에 세 개의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전

    박시연 기자
    11-03 13:01
  • [심층분석] 한국에 공수된 대당 3300억원짜리 트럼프 전용 헬리콥터 ‘마린 원’

    [심층분석] 한국에 공수된 대당 3300억원짜리 트럼프 전용 헬리콥터 ‘마린 원’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한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이동 시 탑승한 ‘마린 원(Marine One)’은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보안과 기술을 갖춘 항공기 중 하나로 꼽힌다. ‘마린 원’이라는 명칭은 특정 기종의 이름이 아니라, 대통령이 탑승 중일 때 미 해병대 소속 헬리콥터가 사용하는 호출부호(콜 사인)다. 즉, 어떤 헬리콥터라도 대통령이 타면 그 순간 ‘마린 원’으로 불리게 되는 것이다.▌ 아이젠하워가 처음 시작한 미 대통령의 헬기 이동 전통미국 대통령의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10-29 23:04
  • [가장 비싼 무기 톱10] ‘차르 봄바’ 냉전시절 인류가 만든 가장 강력한 폭발

    [가장 비싼 무기 톱10] ‘차르 봄바’ 냉전시절 인류가 만든 가장 강력한 폭발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1961년 10월 30일, 북극권 노바야젬랴(Novaya Zemlya) 섬 상공에서 인류는 전례 없는 폭발을 목격했다. 소련이 실험한 ‘차르 봄바(Tsar Bomba)’, TNT 50메가톤에 달하는 핵폭탄이었다.이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3300배에 달하는 위력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인공 폭발이었다.차르 봄바는 단순한 무기가 아니라 냉전 한복판에서 정치·군사·기술력의 총체적 과시를 위한 상징이었다. 당시 미국과 핵 경쟁 중이던 소련은 “누가 더 강력한 무기를 가졌는가”라

    최진우 기자
    10-20 10:55
  • [해외군수산업] 유럽 해군, 자율수중드론으로 해양전력 혁신 가속화

    [해외군수산업] 유럽 해군, 자율수중드론으로 해양전력 혁신 가속화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한 시간 거리에 위치한 세심브라 해안. 9월 말 맑은 날, 인간의 눈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 대서양 물결 속에서 펭귄처럼 생긴 로봇이 포르투갈 해군 함정을 감시하며 선회하고 있었다. 이 장비는 독일 유로아틀라스사의 그레이샤크(Greyshark)로, 길이 6.5m, 차량과 맞먹는 무게를 가진 자율 수중 차량(AUV)이다. 그레이샤크는 나토 주관의 다이내믹 메신저 및 REPMUS 연합훈련에서 주요 해양 무인 시스템으로 활용됐다.이번 훈련은 3주간 진행됐으며 200여 개 이상의 무인 장비를 시

    박시연 기자
    10-20 01:09
  • [심층분석] 美육군 차세대 전차 ‘M1E3’, 2026년 실전 테스트 임박

    [심층분석] 美육군 차세대 전차 ‘M1E3’, 2026년 실전 테스트 임박

    [뉴스임팩트=이정희 기자] 미 육군이 차세대 전차 ‘M1E3 에이브럼스’(Abrams M1E3)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며, 오는 2026년 말까지 실전 테스트를 마무리할 것이란 목표를 세워 주목된다. 이 전차는 1990년대 이후 오랫동안 미 지상군의 주력으로 자리했던 M1 시리즈를 대체할 예정으로, 기존보다 가볍고 유연하며 디지털화된 전투 플랫폼으로 설계되고 있다.▌ “10년이 아닌 2~3년 안에 실전배치”미 육군 지상전투체계 부서의 딥 대령은 미 군사전문매체 디펜스 뉴스와 인터뷰에서 “다음 10년이 아닌, 앞으로 2~3년

    이정희 기자
    10-19 00:00
  • [해외군수산업] GPS 없이도 120km 타격, 美 차세대 정밀포 ‘LRMP’ 시험 성공

    [해외군수산업] GPS 없이도 120km 타격, 美 차세대 정밀포 ‘LRMP’ 시험 성공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미국 육군이 GPS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120km 거리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정밀유도 포탄 시험에 성공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시험은 애리조나 유마 시험장(Yuma Proving Ground)에서 실시됐다.시험에서 발사된 포탄은 제너럴 아토믹스 전자기 시스템(GAES)이 개발한 LRMP(Long Range Maneuvering Projectile)로, M777 곡사포에서 M231 화약 장약을 사용해 발사됐다. 회사 측은 LRMP가 155mm 포 시스템의 사거리와 정밀도를 크

    박시연 기자
    10-16 15:16
  • [가장 비싼 무기 톱10] 심해의 핵 억제력, 오하이오급 SSBN

    [가장 비싼 무기 톱10] 심해의 핵 억제력, 오하이오급 SSBN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미국 해상 전략잠수함은 국가 안보의 ‘숨은 방패’로 불린다. 그 중심에는 1981년 첫 진수 이후 40년 넘게 미국 핵 억제력의 주축으로 자리한 오하이오급 SSBN이 굳건히 자리매김하고 있다.오하이오급 SSBN의 길이는 약 170m, 배수량 1만8750톤, 탑재 미사일은 트라이던트 II D5 (최대 24기)이며, 수중 속도는 약 25노트이다. 잠항 가능 기간은 90일 이상인데, 현재 20척이 건조되어 이 중 14척은 SSBN(탄도미사일 잠수함)으로 운용 중이며, 나머지 6척은 SSGN(순항미사일 잠수함)으

    박시연 기자
    10-15 00:20
  •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SF 영화에서 튀어나온 현실의 군사 기술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SF 영화에서 튀어나온 현실의 군사 기술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과거에는 영화 속에서만 가능할 것 같던 무기와 장비들이 이제는 현실 전장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할리우드 SF 블록버스터에서 관객들을 놀라게 했던 첨단 기술들이 군사 연구와 맞물리면서, 영화와 현실의 경계는 점점 희미해지고 있는 것이다.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아이언맨 수트’다. 영화 속 토니 스타크의 전투용 파워드 슈트는 단순한 상상력의 산물 같지만, 현재 미군과 여러 국방기업들이 개발 중인 엑소스켈레톤(외골격 슈트)는 실제 병사들의 체력 보강 장비로 연구되고 있다. 이 장비는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10-13 14:30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007의 모티브, 가장 오래된 정보기관 영국 MI6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007의 모티브, 가장 오래된 정보기관 영국 MI6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영국 비밀정보국은 흔히 MI6(Secret Intelligence Service, SIS)라 불린다. 이 조직은 세계 첩보사의 전설적 존재다. 냉전기 CIA와 KGB가 맞붙기 전부터 MI6는 이미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며 제국주의 시대의 이익을 지키는 최전선에 서 있었다. 오랜 전통과 독창적인 문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영제국의 유산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며 MI6를 국제 첩보전의 핵심 주자로 남게 만들었다.MI6는 제1차 세계대전 직전인 1909년, 독일 제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됐다. 당시 영국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10-06 10:49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이스라엘 모사드 “그림자 속의 전설”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이스라엘 모사드 “그림자 속의 전설”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이스라엘의 국가정보기관 모사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두려움과 존경을 동시에 받는 이름 중 하나다. 1949년 창설된 모사드는 작은 국가 이스라엘이 적대적인 중동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패이자 창이었다. 모사드의 존재는 단순한 첩보 활동을 넘어,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 임무였다.이스라엘은 건국 직후부터 아랍 국가들과의 전쟁에 직면했고, 국토는 좁고 인구는 적었다. 이런 환경에서 모사드는 제한된 자원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대칭적 전략을 펼쳤다. 즉, 전면전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기 어려운 만큼, 은밀한 첩보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박시연 기자
    09-29 22:31
  •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킬러 로봇, 인간 병사 대체 시작됐다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킬러 로봇, 인간 병사 대체 시작됐다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20세기 전쟁이 ‘인간 대 인간’의 양상을 띠었다면, 21세기 전쟁은 점차 인간과 로봇이 함께 싸우는 전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과 로봇 공학의 발전은 군사 기술에 혁명적 변화를 불러오며, ‘로봇 병사’의 등장은 더 이상 공상과학의 영역이 아니게 된 것이다.현재 미군, 러시아군, 중국군은 모두 지상 전투 로봇 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 로봇은 정찰, 폭발물 제거, 화력 지원, 심지어 독립적인 전투 임무 수행까지 가능해지며, 미래 전장에서 인간 병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될 전망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09-26 09:24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죽의 장막, 중국의 정보전략과 MSS의 부상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죽의 장막, 중국의 정보전략과 MSS의 부상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21세기 국제 첩보전에서 가장 빠르게 세력을 확장한 국가는 단연 중국이다. 미국과 러시아가 오랜 냉전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력을 다져왔다면, 중국은 경제 성장과 맞물려 정보기관을 ‘국가 발전의 도구’로 적극 활용해왔다. 그 중심에 선 기관이 바로 MSS(국가안전부, Ministry of State Security)다.MSS는 1983년 공안부의 보안 기능과 중앙조사부를 통합해 출범했다. 창설 목적은 단순한 대외첩보 수집이 아니라 국내 안보와 대외 정보활동을 동시에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이는 FBI와 CI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최진우 기자
    09-24 11:30
  • [가장 비싼 무기 톱10] 바다 위의 기술 혁신, 줌월트급 스텔스 구축함

    [가장 비싼 무기 톱10] 바다 위의 기술 혁신, 줌월트급 스텔스 구축함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미 해군의 줌월트급(Zumwalt-class) 스텔스 구축함은 단순한 군함을 넘어 21세기 해상 전력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2000년대 초 개발이 시작된 이 함정은 첨단 스텔스 설계와 자동화 기술을 접목해, 기존 구축함과는 완전히 다른 성능을 목표로 설계됐다.◇ 혁신적 설계와 스텔스 기술줌월트급은 외형부터 기존 구축함과 큰 차이를 보인다. 전통적인 선형 대신 날렵한 ‘텀블홈(Tumblehome)’ 설계를 적용하고, 전용 스텔스 코팅으로 적 레이더 탐지를 극도로 줄였다.건조 비용이 지금 환율로 무려 7조원에

    박시연 기자
    09-23 11:14
  • 대만, 신형 '치앙콩' 미사일로 ‘중국 억제 전략’ 강화

    대만, 신형 '치앙콩' 미사일로 ‘중국 억제 전략’ 강화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대만이 최신 공대공·공대지 방어 무기인 치앙콩 미사일을 선보이며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현지시간 지난 18일 개막한 타이페이 항공·방위 전시회(TADTE) 2025에서는 치앙콩 미사일을 비롯해 대만이 자체 개발하거나 해외 협력을 통해 확보한 첨단 무기가 대거 공개됐다.치앙콩 미사일은 티엔쿵 III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2단계 미사일로, 중거리에서 발사되어 고폭 파편탄두로 순항 및 탄도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최대 요격 고도는 약 70km(43.5마일)에 달하며,

    박시연 기자
    09-21 20:45
  •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냉전의 최전선, 남북 첩보전 70년의 기록

    [우리가 몰랐던 첩보세계] 냉전의 최전선, 남북 첩보전 70년의 기록

    [뉴스임팩트=박시연 기자] 한반도는 늘 냉전의 최전선이었다. 분단 이후 남북한은 정치·군사적 충돌뿐 아니라 은밀한 첩보전의 무대였다. 총성이 울리는 전쟁이 아니더라도, 보이지 않는 정보전은 수십 년간 한반도의 안보 지형을 흔들었다. 스파이 체포와 이중간첩, 잠수정을 이용한 침투, 해외에서 벌어진 정보전은 지금까지도 한국 현대사의 그림자 속에 존재한다.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남북한은 군사적 균형 속에서도 서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첩보전을 강화했다. 북한은 대남 공작부대를 조직해 간첩을 남파했다. 이들은 위장 신분으로 한국

    흥미로운 군사이야기
    박시연 기자
    09-21 00:30
  •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