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개청 설계 경험과 전문성 갖춘 ‘원년 멤버’…방산 혁신 기대감 확산 속 방사청 내부에선 긴장감 고조
[뉴스임팩트=이정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이용철 변호사를 신임 방위사업청장으로 임명해 인사 배경을 궁금해하는 시각이 많다. 그는 2006년 초대 방사청 차장으로 임명돼 조직 설계와 제도 구축을 주도한 ‘원년 멤버’이지만, 군과 갈등을 빚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인사와 관련해 “방사청의 문을 연 경험과 탁월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방산 4대 강국 목표를 구현할 최적의 전략가”라고 설명했다. 이번 임명은 방산 산업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정부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조치라는 평가다.
▌ 풍부한 경력과 개혁 성향
이용철 청장은 1960년 전북 순창 출생으로 전주 신흥고,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사법시험 31회에 합격했다. 변호사로 활동하며 2002년 대선에서는 ‘노무현을 지지하는 변호사 모임’ 간사를 맡아 법조계 지지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민정2비서관, 법무비서관, 국무조정실 산하 국방획득제도개선단 단장, 방사청 개청 준비단 부단장, 초대 방사청 차장 등을 거치며 정책과 조직 운영 능력을 겸비했다.
▌ 청렴성과 독립성 상징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계기는 2007년 삼성의 청와대 로비 시도 폭로 사건이었다. 당시 그는 청와대 법무비서관 재직 중 삼성으로부터 받은 현금 다발을 돌려주고 공개함으로써 기업과 권력 간 부적절한 유착을 단호히 거부한 인물로 평가됐다. 이번 방사청장 임명은 그의 이러한 청렴성과 독립성을 높이 산 결과로, 방위사업 분야의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선택으로 읽힌다.
▌ 과거 사의, 갈등이 아닌 개혁 의지의 표현
2006년 방사청 차장 재직 시 그는 군 인사 문제를 둘러싼 국방부와의 갈등 등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당시 대령 진급 인사에서 방사청이 육·공군 장교 진급을 요구했지만 참모총장이 일부만 수용하며 갈등이 빚어졌다. 그는 사직 인사에서 “국방획득 제도 개혁에는 여전히 장애 요인이 많으며, 범정부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임명은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제도 개선과 조직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정부 판단에 따른 것이다.
▌ 방위사업 혁신과 투명성 강화 기대
이번 인사는 방위사업청 내부와 방산 산업 전반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방산 예산과 프로젝트 관리에서 투명성을 높이고, 효율적 제도 운용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용철 청장은 이미 방사청의 구조와 국방획득 제도를 깊이 이해하고 있어, 과거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혁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인물로 평가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임명은 단순한 인사 교체가 아니라, 방산 정책과 조직의 장기적 혁신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설명하며, 방사청 내외부에서 기대감을 높였다.
